일수계산기 무료 사용 방법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요즘 일자리가 없다고 난리입니다. 알바(아르바이트) 자리도 구하기 힘들어서 여기저기 알아보고 있는데요. 이력서를 작성할 때 보면 경력을 입력하는 곳이 있습니다.
이전에 일하던 곳에서 얼마나 일했는지 확인하기 위해서는 어떻게 해야 할까요? 처음 시작하는 날짜와 그만두는 날짜를 알고 있으면 쉽게 파악할 수 있습니다. 달력을 펼치고 일일이 세지 않아도 됩니다.
계산기를 사용하면 누구나 쉽게 날짜를 세볼 수 있는데요. 연인과의 사귄 일수나 취미를 즐긴 기간 등 기타 여러 상황에서 적용해볼 수 있습니다.
오늘은 무료로 일수계산기 사용하는 방법을 알려드릴 텐데요. 인터넷에서 포털 사이트를 이용해서 할 수 있으며, 윈도우에 기본적으로 들어가 있는 프로그램을 써도 됩니다. 그럼 지금부터 자세히 알려드릴게요.
먼저, 네이버에서 제공하고 있는 날짜 계산기를 사용해보도록 하겠습니다. 검색 창에 입력하시면 위와 같은 화면을 만날 수 있어요. 기준년원일 항목에 시작 날짜를 입력하시고, 아래의 항목에 추가로 정보를 입력하면 됩니다. 직접 해보도록 하겠습니다.
저는 2014년 10월 25일을 기준일로 입력했습니다. 이제 제일 아래에 있는 항목에 2016년 4월 25일을 입력하고 계산 버튼을 클릭하도록 하겠습니다. 기준일로부터 549일째라는 결과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여기서 주의할 점이 있는데요. 네이버 날짜 계산기는 기준일을 1일로 포함한다는 것입니다. 근무일수 계산기로 활용해보세요.
다음으로 윈도우에서 일수계산기 사용 방법을 알려드리도록 할게요. 계산기 프로그램을 실행하시기 바랍니다. 윈도우의 시작 버튼을 보조 프로그램에 들어가시면 실행 파일이 있습니다. 이제 위의 화면에서처럼 보기 버튼을 누르고 날짜 계산을 선택하시기 바랍니다.
두 날짜 간 차이 계산이 선택된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제 시작과 끝 날짜를 입력하시면 됩니다. 위에서 했던 내용을 그대로 입력해보았습니다. 548일이라는 숫자가 나왔습니다. 두 날짜 간의 차이를 보여주기 때문에 기준일을 1일로 포함하지 않습니다.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지금까지 일수계산기 사용 방법에 대해서 알아보았습니다.
'유용한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실급여계산기 무료 사용 (0) | 2016.10.27 |
---|---|
구글 사진검색 방법 (0) | 2016.10.26 |
알씨 사진편집 방법 (0) | 2016.10.24 |
구글 계정 만들기 방법 (0) | 2016.10.22 |
인터넷 동영상 저장 방법 (0) | 2016.10.21 |